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"월세 보증금 못 돌려받을 때, 지금 당장 해야 할 일 5가지"

by 생도남 2025. 4. 10.
반응형

보증금-돌려받기
임대인이 잠적했거나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준비를 철저히 해야한다.

 

혹시 임대인이 잠적했나요?
연락 두절, 퇴실 후 보증금 미반환…
막막한 이 상황에서 무엇부터 해야 할지 감이 안 잡히신다면,
지금 이 글에서 정확한 순서를 확인하세요.


✅ 핵심 요약

  • 계약은 끝났는데 보증금을 못 받았다면?
  • 내용증명, 소송 준비, 점유 유지 등 실질적인 대응 전략
  • 임대인이 사라졌더라도 회수 가능한 법적 방법 존재

💡 사례 기반 정보를 참고하며 상황에 맞는 방향을 잡아보세요.


1️⃣ 퇴실 통보는 ‘했다는 증거’가 가장 중요합니다

전화로 퇴실 의사를 전하셨다면,
통화 녹음은 법적으로 매우 유효한 증거입니다.

"통보를 받지 못했다"는 임대인의 주장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.

✅ 추가로 문자, 카카오톡 등 다른 형태의 기록도 확보해두세요.
**문서화(내용증명)**는 강제는 아니지만, 분쟁 시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.


2️⃣ 보증금 받기 전까지는 절대 방을 비우지 마세요

많은 분들이 실수하는 부분이 바로 이겁니다:

“계약은 끝났고, 계속 있긴 좀 그런데… 그냥 빼도 되겠지?”

🧠 절대 안 됩니다.
보증금을 못 받은 상태에서 방을 비우면,
임차인으로서의 법적 보호가 약해집니다.

  • 점유 상태면 우선변제권 등 권리를 유지할 수 있어요.
  • 점유를 포기하면, ‘돈을 줄 당사자’가 없어질 수도 있습니다.

3️⃣ 임대인이 사라져도, 소송은 가능합니다

  • 계약서 사본
  • 보증금 입금 내역
  • 전입신고 기록
  • 퇴실 통보 관련 증거

이 4가지만 갖고 있어도, **보증금 반환 소송(소액사건)**이 가능합니다.
📌 실제로 혼자 준비해도 큰 어려움 없이 처리된 사례가 많습니다.

지금 이 단계에서 어떤 절차를 밟는 게 좋을지,
실무 사례나 판례를 참고하면 훨씬 수월합니다.


4️⃣ 내용증명, ‘선택’이 아니라 ‘보호 장치’입니다

녹음이나 문자로 퇴실 통보를 하셨더라도,
내용증명을 한 번 더 보내두면 법적 효력이 훨씬 강해집니다.

  • 향후 소송 시 지연손해금 계산 기준일로 인정되기도 함
  • “받은 적 없다”는 임대인의 주장 차단 가능

📬 인터넷 우체국에서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으니
시간을 들일 만한 가치가 있는 조치입니다.


5️⃣ 소송 전, 임대인 재산과 순위를 꼭 체크하세요

보증금 반환 소송을 시작하기 전엔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:

  • 등기부등본을 통해 해당 부동산의 근저당·가압류 여부 확인
  • 전입일자 및 확정일자를 통한 내 순위 점검
  • 필요 시 강제경매나 채권압류까지도 염두에 둘 것

내 보증금보다 선순위 채권자가 많다면,
전액 회수가 어려울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.


💡 한 줄 요약

“보증금 문제는 감정이 아니라, 증거와 순위로 해결됩니다.”

지금 당신이 모아두는 문자, 녹음, 계약서…
그 하나하나가 결국 돈으로 돌아오게 됩니다.


📘 함께 보면 좋은 글

  • 월세 보증금 소송 후기 모음 (업데이트 예정)
  • 내용증명 작성법 + 무료 템플릿 (업데이트 예정)
  • 임차권등기 vs 점유 유지 전략 정리 (업데이트 예정)
  • 소액사건 절차 한눈에 보기 (업데이트 예정)